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94

목표와 성공을 향한 노력, 효과의 법칙, 작심삼일 되지 않는 방법 28. 목표와 성공을 향한 노력, 효과의 법칙, 보상의 법칙, 작심삼일 되지 않는 법 "폰더씨의 실천하는 하루" 앤디 앤드루스(Andy Andrews) 저, 하윤숙 옮김 "우리는 새로운 것을 접하면 시험 삼아 몇 번 해본다. 결과적으로 효과가 있으면 좀 더 보강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포기한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가리켜 효과의 법칙이라고 한다. 몇 번 해보고 보상이 따르면 계속하지만 반대로 일 때문에 혼이 나거나 고통스러우면 피하게 된다. ........ 중략 ....... 비록 마음에 들지 않는 삶일지라도 우리에게는 익숙하며, 익숙함은 편안함을 주기 때문이다. 비록 빚도 산더미고, 일도 지지부진하며, 인간관계에 문제가 생겼다 하더라도 우리는 이런 삶에 안주하는 성향이 있다." 많.. 2021. 2. 11.
책 읽는 습관, 독서의 장점 27. 책 읽는 습관, 독서의 장점누군가에게 책을 읽는다는 것은 따분한 취미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꼼짝하지 않고 앉아 있는것이 부정적인 의미로서 너무 정적이며 몸에서 사리가 나올만한 일이라고 막연한 트집을 잡기도 한다. 나는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는 업무와 관련된 책은 가끔 읽는 편이었지만 소설이나 철학, 자기개발서 등등 이외의 보통의 책을 가까이하는 편이 아니었다. 그것을 따분한 취미라고 생각했던 그 누군가는 바로 나였다. 마치 장식품처럼 책을 들고 다니면서 고상한 척, 우아한 척 하고 싶은 적도 있었다. 워낙 책을 읽지 않는 타입이다 보니, 마지못해 읽어야 하는 책은 의미 없이 눈동자만 바쁘게 움직였고, 그 문자들을 시각적으로만 받아 들일뿐 그 안에 함축된 메시지들을 느끼지 못했다. 책을 들여다보는.. 2021. 2. 9.
자신만의 비전, 확신, 신념 그리고 독선 26. 자신만의 비전, 확신, 신념 그리고 독선 누구나 목표가 있다면 자신만의 비전을 갖아야 한다. 그 비전이 다른 이들에게 비합리적이고 실현 불가능해 보일지라도 말이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공감받지 못하는 비전은 종종 그들의 걱정거리 또는 조롱거리가 되어 자신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인생의 주인은 나 자신이다. 다른 사람들의 평판에 관심을 두고 살아가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의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면 내가 바라보고 있는 비전을 따라서 주도적으로 내 인생의 중심이 되어 스스로 걸어 나가야 한다. 당신 인생의 운전석에는 누가 앉아 있길 바라는가? 자기 인생을 누리는 것도, 책임을 지는 것도 오직 나뿐 일수밖에는 없다. 확신은 목표를 향한 최선의 지름길을 .. 2021. 2. 9.
미혹되기 쉬운 10개의 함정 25. 미혹되기 쉬운 10개의 함정 "위대한 작은 발걸음" 알세쿤다(Al Secunda) 저, 최유나 옮김. 어떤 이는 금세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반면 또 어떤 이는 오랜 준비 기간을 거친다. 이를 받아들이고 자신만의 페이스에 맞추어 목표를 향해 가야 한다. 미혹되기 쉬운 10개의 함정 1. 다른 누군가와의 비교2. 스스로에 대한 불신3. 이미 늦었다는 성급한 판단4. 남들의 평가에 대한 집착5. 원하는 것은 모조리 취하려는 과욕6. 개선에 대한 노력의 부재7. 난관에 부딪히면 곧장 포기해 버리는 나약함.8. 작은 성공에 감사할 줄 모르는 오만9. 목표와 자아의 실현이 아니라 두려움과 불안 때문에 일하는 마음 상태10. 과정 속에서 얻은 경험은 외면한 채 결과만 중요시하는 태도. 무엇이건 간에 어떤 목표.. 2021. 2. 7.
시기와 질투는 자연스러운 감정, 그래서 더욱 경계해야 할 감정 24. 시기와 질투는 자연스러운 감정, 그래서 더욱 경계해야 할 감정 시기와 질투는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일면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성공, 성취에 대해서 순수한 축하와 존경을 보내야 한다는 묵시적인 사회적 규범, 도덕관념 속에서 살고 있으며, 시기와 질투에 대하여는 부도덕한 것이라고 배우며 살아왔다. 그래서인지 나에 대한 다른 사람의 시기 질투를 보면 그것을 불쾌해하며 '너 잘 걸렸다' 싶을정도로 맹렬히 비난해 왔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성공 앞에서 나 자신은 어땠을까? 우리 속담에는 ‘사돈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내가 잃은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이 뭔가를 얻는 소식을 듣는 것만으로도 배가 아프다니. 정말 오묘한 인간 심리가 아닐 수 없다. 내가 .. 2021. 2. 7.
선택과 책임. 망설임. 선택의 여지, 경솔하고 충동적인 선택 23. 선택과 책임. 망설임. 선택의 여지, 경솔하고 충동적인 선택 "선택" Spencer Johnson 저, 형선호 옮김 “제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그 말에 희로가 소리 내어 웃었다. “당신에게 주어진 선택 가운데 하나는, 당신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여러 가지라는 사실 자체예요. 어떤 경우에나 몇 가지 선택지가 있지만 스스로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만약 당신이 ‘내게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면, 그럴 때 그냥 여유를 갖고 한번 웃어 봐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해도 그건 진실이 아니니까요. 우리는 때로 지레 겁을 먹고는 다른 선택지가 없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그건 진실이 아니에요. 다만 두려워서 감각이 마비된 것뿐이죠.” 젊은이가 반.. 2021. 2. 6.
말(言)과 품격, 품위 22. 말(言)과 품격, 품위 “완벽에의 충동” 정진홍 저 “'입구(口)'자 세 개가 모이면 뭐가 되는 줄 아십니까? 다름 아닌 ‘품(品)’자가 되지요. 품위(品位), 품격(品格)이라고 말할 때 바로 그 ‘품(品)’자 말입니다. 한 마디로 사람의 품격은 입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사람은 말 씀씀이가 중요합니다. 아무리 차려입어도 입에서 나오는 말이 거칠고 뒤죽박죽이면 당연히 품위와 품격이 없어 보이게 마련이지요. 품위 있고 품격 있는 사람이 되려면 입을 열었을 때 단 한마디에서도 그만의 독특한 향취가 풍겨 나와야 합니다.” 저는 하루 종일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많은 말을 쏟아냈지만 그 대부분의 향기가 독특한 향취가 향기 일지 또는 악취 일지 모르겠습니다. 스스로의 유동적인 잣대가 .. 2021. 2. 3.
天下有兩大衡(천하유양대형), 두 개의 저울, 다산 정약용 선생의 편지 21. 天下有兩大衡(천하유양대형), 두 개의 저울 天下有兩大衡 一是非之衡 一利害之衡也 於 此兩大衡 生出四大級 凡守是而獲利者太上 也其次守是而取害也其次趨非而獲利也 最 下者趨非而取害也 (천하유양대형 일시비지형 일이해지형야 어차양대형 생출사대급 범수시 이획리자태상야 기차수시이취해야 기차추비 이획리야 최하자추비이취해야) 조선 후기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 선생께서 유배생활 중 1816년 5월 3일 큰 아들 학연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말씀이다. “세상에는 두 가지 큰 저울이 있다. (天下有兩大衡, 천하유양대형), 하나는 옳은 것과 그른 것이라는 저울이며, 다른 하나는 이익과 손해라는 저울이다(一是非之衡, 일 시비지형, 一 利害之衡也, 일이해지형야) 이 두 개의 저울에서 네 가지 등급이 생겨난다(於출兩大衡 生 出四大級,.. 2021. 2. 2.
미니멀 라이프, 워라벨, 유희의 인간, 30:70의 생활 20. 미니멀 라이프, 워라벨, 유희의 인간, 30:70의 생활 촌각을 다투며 바쁘게 뛰어다니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 지금, 우리는 어느 때보다 인간성을 상실해 가고 있습니다. 요즘의 트렌드인 ‘워라벨’이라는 말은 일과 생활의 균형이라는 의미입니다. 어려운 시기를 절박한 심정으로 버텨 낸 선배세대의 입장에서, 경쟁시대에 살아남으려면 24시간도 부족한데, 이것이 무슨 배부른 소리냐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젊은 세대들은 기성세대의 입장과는 다릅니다. 그것은 단순히 더 놀아보자, 더 즐기자의 방탕함이 아닙니다. 우리가 그동안 잊고 지냈던 본질적인 인간상으로 돌아가자고 요구하는 것입니다. 인디언 마을의 한 가지 일화가 떠오릅니다. 서부를 개척하던? 침략하던? 백인들이 인디언 마을에 새롭게 개발된 화학비료를 선물로.. 2021. 1. 31.
728x90
반응형